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화면이 흑백으로 바뀌는 당황스러운 상황을 겪을 수 있습니다. 화면이 고장 난 건 아닐까 걱정되지만, 대부분은 간단한 설정 문제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휴대폰 화면이 흑백으로 나오는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모두 적용 가능한 내용을 포함했으니, 상황에 맞게 따라 해보세요.
1. 접근성 설정에서 색상 보정 확인
가장 흔한 원인은 접근성 기능 중 색상 보정 또는 흑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입니다.
안드로이드 (갤럭시 기준)
- 설정 앱 실행
- ‘접근성’ → ‘시각 보조’ 선택
- ‘색상 보정’ 또는 ‘색상 반전’ 항목 확인
- ‘흑백’ 또는 ‘단색’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 안 함’으로 변경
※ 일부 기종에서는 ‘디스플레이’ → ‘화면 모드’에서도 색상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 화면이 흑백으로 보이거나 색상이 반전되어 보입니다.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 화면이 흑백으로 보이거나 색상이 반전되어 보입니다.
갤럭시 기기 사용 중 취침 모드 혹은 색상 반전, 색상 필터를 설정한 경우 화면이 흑백으로 보이거나 색상 반전 및 필터를 씌운 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www.samsungsvc.co.kr
아이폰
- 설정 → 손쉬운 사용 → 디스플레이 및 텍스트 크기
- ‘색상 필터’ 항목 진입
- ‘회색조’가 켜져 있다면 끄기
2. 수면 모드 또는 집중 모드 확인
일부 스마트폰은 수면 모드(취침 모드)가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화면을 흑백으로 전환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기 위한 기능입니다.
- 안드로이드: 설정 → 디지털 웰빙 및 자녀 보호 → 수면 모드
- 아이폰: 설정 → 집중 모드 → 수면 모드 설정 확인
수면 모드가 켜져 있다면 해제하거나, 흑백 전환 옵션을 비활성화하세요.
3. 개발자 옵션 확인
간혹 개발자 옵션에서 색상 시뮬레이션이 활성화되어 흑백 화면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를 7회 연속 터치해 개발자 모드 활성화
- 설정 → 개발자 옵션 → ‘모노크롬 시뮬레이션’ 항목이 켜져 있다면 끄기
이 기능은 주로 앱 개발자들이 테스트용으로 사용하는 기능이므로 일반 사용자라면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4. 배터리 절약 모드 확인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배터리 절약 모드가 활성화되면 화면 색상이 흑백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 설정 →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 배터리 → 절전 모드 해제
절전 모드가 켜져 있다면 해제 후 화면 색상이 정상으로 돌아오는지 확인해보세요.
5.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은 낮지만…
위의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이 계속 흑백이라면, 디스플레이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까운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휴대폰 화면이 흑백으로 나오는 현상은 대부분 간단한 설정 문제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접근성 설정이나 수면 모드, 색상 보정 기능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니 위의 방법을 차근차근 따라 해보세요. 화면이 다시 컬러로 돌아오면, 괜한 걱정이었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