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합원 입주권 매매 조건

by 원아이드잭 2025. 4. 27.
반응형

조합원 입주권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원이 새 아파트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매매 시 여러 조건과 절차를 따져봐야 합니다. 아래는 조합원 입주권 매매 조건과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조합원 입주권 거래 가능 시점

  •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 조합원 입주권은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부터 매매가 가능합니다.
  • 재건축 조합원: 2018년 2월 9일 이후 조합원이 된 경우, 입주권 전매가 불가능하며 세대원 간 거래만 가능합니다.
  • 재개발 조합원: 실거주 의무 여부나 추가 입주권 부여(1+1 분양) 조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조합원 입주권을 매매하려고하는데 특별히 주의할점이 있을까요? ㅣ 궁금할 땐, 아하!

 

조합원 입주권을 매매하려고하는데 특별히 주의할점이 있을까요? ㅣ 궁금할 땐, 아하!

제가 아는 지인이 조합원인데요 그래서 지인꺼를 조합원입주권을 매매로 사려고합니다 아직 그쪽이 공사가 진행중이라서 입주는 내년쯤에 시작이 될것같아요 그래서 등기이전도 당연히 안되

www.a-ha.io

 

2. 매매 절차

  1. 권리 분석 및 시세 확인: 입주권의 거래 가능 여부, 추가 분담금, 프리미엄 등을 확인합니다.
  2. 계약서 작성: 매매 대상, 추가 분담금, 대출 승계 여부 등을 포함한 계약서를 작성합니다.
  3. 조합에 신고 및 승계 승인: 계약 후 조합에 조합원 변경 신고를 진행하고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4. 잔금 지급 및 소유권 이전: 잔금을 지급한 후 조합원 지위를 정식으로 승계받습니다.

 

3. 주의사항

  • 추가 부담금 확인: 사업 진행 과정에서 추가로 부담해야 할 금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 전매 제한 여부: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부터 매매가 가능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전매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세금 문제: 양도소득세, 취득세 등 세금 문제를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 조합 운영 상태 점검: 사업 지연이나 추가 부담금 증가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세금 및 법적 문제

  • 양도소득세: 보유 기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1년 미만 보유 시 최대 70%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 취득세: 준공 전에는 비주거용으로 간주되어 4.6%의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종합부동산세: 준공 후 주택으로 간주되어 부과됩니다.

 

조합원 입주권 매매는 일반적인 부동산 거래보다 복잡하며, 법적·세금 문제와 사업 진행 상황 등을 세심히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매매를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며, 위의 정보를 참고하여 합리적인 거래를 계획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