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엑셀 날짜로 인식을 못하는 경우

by 원아이드잭 2025. 9. 10.
반응형

엑셀에서 셀에 입력된 값이 겉보기에는 날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날짜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09.10처럼 점(.)으로 구분된 날짜나, 외부에서 복사·붙여넣기 한 데이터가 대표적입니다. 이런 경우 엑셀은 해당 값을 ‘텍스트’로 저장하기 때문에 날짜 계산, 정렬, 필터링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날짜로 인식되지 않는 주요 원인

  1. 구분 기호 문제
    엑셀은 기본적으로 -(하이픈) 또는 /(슬래시)로 구분된 날짜 형식을 인식합니다. .(점)이나 다른 기호를 사용하면 날짜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2. 텍스트 서식
    셀 서식이 ‘텍스트’로 지정되어 있으면, 날짜처럼 보여도 단순 문자열로 처리됩니다.
  3.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웹, CSV, ERP 등 외부에서 가져온 데이터는 서식이 깨져 날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공백 또는 숨겨진 문자
    데이터 앞뒤에 공백이나 보이지 않는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날짜 변환이 실패합니다.

 

해결 방법

1. 구분 기호 변경하기

  • Ctrl + H(찾기 및 바꾸기) 기능을 사용해 .- 또는 /로 일괄 변경합니다.
  • 예: 2025.09.102025-09-10
  • 변경 후 셀 서식을 ‘날짜’로 지정하면 정상적으로 인식됩니다.

2. 텍스트를 날짜로 변환하기

  • 셀 서식을 ‘일반’ 또는 ‘날짜’로 변경한 뒤, 값을 다시 입력하거나 Enter를 눌러 재인식시킵니다.
  • 또는 데이터 탭 → 텍스트 나누기 기능을 이용해 날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3. DATEVALUE 함수 사용하기

  • =DATEVALUE(A1) 함수를 사용하면 텍스트 형태의 날짜를 날짜 값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변환된 값을 복사 후 ‘값 붙여넣기’로 원본에 덮어쓰면 됩니다.

4. 공백 제거하기

  • TRIM 함수를 사용해 불필요한 공백을 제거합니다.
  • 예: =DATEVALUE(TRIM(A1))
  • 외부 데이터에서 가져온 경우 특히 유용합니다.

5. 외부 데이터 가져올 때 주의하기

  • CSV나 TXT 파일을 불러올 때, 가져오기 마법사에서 해당 열의 데이터 형식을 ‘날짜’로 지정하면 처음부터 올바르게 인식됩니다.

 

excel) 엑셀에서 날짜인데 날짜형식으로 인식 안될 때

 

excel) 엑셀에서 날짜인데 날짜형식으로 인식 안될 때

요즘 엑셀을 사용하는 일이 많아져서 잔잔한 일에도 화가 많이 나는 중👿 아래 사진처럼 A열과 B열의 날짜를 비교하려는데, "FALSE" 보기에도 같은 날짜 형식으로 보이고, 셀서식에서도 둘 다 날

hp4444.tistory.com

 

예방 팁

  • 날짜 입력 시 - 또는 / 구분자를 사용합니다.
  • 외부 데이터는 가져오기 전에 원본 형식을 확인하고, 필요하면 미리 변환합니다.
  • 데이터 정리 시 찾기 및 바꾸기 기능을 적극 활용하면 대량의 데이터도 빠르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날짜 인식 문제는 사소해 보이지만, 계산 오류나 데이터 분석 차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구분 기호 변경·서식 조정·함수 활용 등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면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량 데이터 작업 전에는 형식 점검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