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북한말과 우리말 비교

by 원아이드잭 2025. 9. 17.
반응형

남북한은 같은 한민족이지만, 분단 이후 70여 년 동안 서로 다른 사회·정치·문화 환경 속에서 언어에도 차이가 생겼습니다. 북한에서는 ‘문화어’라는 이름으로 언어를 규범화했고, 남한에서는 ‘표준어’를 중심으로 언어를 발전시켰습니다. 그 결과 어휘, 발음, 문법, 외래어 사용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북한말과 우리말의 대표적인 차이점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어휘 차이

1. 생활용품 명칭

  • 핸드폰(남한)손전화(북한)
  • 샤워실(남한)물맞이칸(북한)
  • 라면(남한)꼬부랑국수(북한)
  • 아이스크림(남한)얼음보숭이(북한)

북한은 외래어 대신 고유어 또는 한자어를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가족 호칭

  • 장인(남한)가시아버지(북한)
  • 장모(남한)가시어머니(북한)
  • 고모부(남한)고모아버지(북한)

이처럼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호칭도 다르게 표현됩니다.

 

3. 음식 관련 용어

  • 도너츠(남한)가락지빵(북한)
  • 빙수(남한)단얼음(북한)
  • 계란과자(남한)닭알과자(북한)

북한은 음식 이름에서도 외래어를 배제하고 직관적인 표현을 선호합니다.

 

발음 차이

1. 두음법칙 적용 여부

남한에서는 ‘로인’을 ‘노인’으로 발음하지만, 북한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아 그대로 ‘로인’이라고 발음합니다.
예:

  • 노동(남한)로동(북한)
  • 녀자(남한: 여자)녀자(북한)

 

2. 받침 발음

북한은 받침 발음을 비교적 명확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값’의 ‘ㅄ’ 받침을 끝까지 발음하려고 합니다.

외래어 사용 차이

 

남한은 영어, 일본어 등 외래어를 비교적 자유롭게 받아들이지만, 북한은 이를 순화하여 고유어 또는 한자어로 대체합니다.
예:

  • 버스(남한)뻐스(북한) 또는 승합차
  • 컴퓨터(남한)콤퓨터(북한)
  • 아파트(남한)살림집(북한)

 

문법 및 표현 차이

1. 조사와 어미

  • 남한: “-할까?”
  • 북한: “-할가?”
  • 남한: “-지만”
  • 북한: “-지만서도”

 

2. 띄어쓰기 규정

북한은 남한보다 띄어쓰기를 더 엄격하게 적용하거나, 반대로 일부 표현은 붙여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국어나 다름없다? 같지만 다른 남북한 언어

 

외국어나 다름없다? 같지만 다른 남북한 언어

◀ 김필국 앵커 ▶ 같은 한글을 사용하는데 북한 말은 우리가 쓰는 말과는 좀 다르죠? 오늘은 남북한 언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차미연 앵커 ▶ 네. 함께하실 두 분입니다. 어...

imnews.imbc.com

 

문화적 배경에 따른 차이

북한은 언어를 ‘사상 교양’의 도구로 보고, 순화어 정책을 강하게 시행해 왔습니다. 반면 남한은 국제 교류와 미디어 발달로 외래어와 신조어가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언어의 차이를 넘어, 사회와 문화의 차이를 반영합니다.

 

북한말과 우리말은 뿌리가 같지만, 오랜 분단으로 인해 어휘, 발음, 문법, 외래어 사용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남북 교류와 통일 이후의 언어 통합을 준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서로의 언어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