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의 초과근무수당은 정규 근무 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급되는 수당으로, 교육공무원의 업무 특성과 경력에 따라 단가가 달라집니다. 특히 교사는 수업 외 활동, 학생 지도, 학교 행사 등 다양한 업무로 인해 초과근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에 대한 수당 지급 기준은 명확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교원의 초과근무수당 지급단가와 관련된 세부 내용을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초과근무수당의 기본 개념
초과근무수당은 교육공무원이 정해진 근무 시간(통상 오전 9시~오후 5시)을 초과하여 근무한 경우, 사전 승인된 시간에 대해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교원의 경우, 야간근무수당이나 휴일근무수당은 별도로 지급되지 않으며, 오직 시간외근무수당만 인정됩니다.
- 평일 기준: 1시간 공제 후 최대 4시간까지 인정
- 휴일 기준: 공제 없음, 최대 4시간까지 인정
- 월 상한 시간: 최대 57시간까지 수당 지급 가능
2025년 기준 교원 초과근무수당 지급단가
초과근무수당은 교원의 호봉과 직급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다음은 2025년 기준 시간당 지급 단가입니다.
직급 및 호봉 구분 | 시간당 지급 단가 |
---|---|
교감, 장학관, 교육연구관 | 15,749원 |
교사, 장학사, 교육연구사 (30호봉 이상) | 14,742원 |
교사, 장학사, 교육연구사 (20~29호봉) | 13,733원 |
교사, 장학사, 교육연구사 (19호봉 이하) | 12,363원 |
이처럼 경력이 많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시간당 단가가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초과근무 시간별 수당 예시
실제 초과근무 시간에 따라 지급되는 수당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호봉 구분 | 2시간 초과근무 | 4시간 초과근무 |
---|---|---|
30호봉 이상 | 29,484원 | 58,968원 |
20~29호봉 | 27,466원 | 54,932원 |
19호봉 이하 | 24,726원 | 49,452원 |
예를 들어, 25호봉의 교사가 평일에 4시간 초과근무를 했다면, 13,733원 × 4시간 = 54,932원의 수당을 지급받게 됩니다.
초과근무단가표 대우수당조견표.hwp
* 본 제품은 한글과컴퓨터의 한/글 문서 파일(.hwp) 공개문서를 참고하여 개발하였습니다. * 본 문서는 한글과컴퓨터의 한/글 문서 파일(.hwp)을 html로 변환한 파일 이므로 원본과 다소 차이가 있을
www.mpm.go.kr
초과근무 인정 사례
초과근무수당은 단순히 근무 시간이 늘어났다고 해서 자동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사전 승인된 업무에 대해 실제로 근무한 시간만 인정됩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인정 사례입니다.
- 학교 행사: 학예회, 체육대회, 졸업식 등
- 학생 인솔: 수학여행, 체험학습, 방과후 활동
- 교육연수: 교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회의
- 수업 외 업무: 생활지도, 상담, 평가 업무 등
단, 자가연수나 자발적인 학교 방문은 초과근무로 인정되지 않으며, 학교장의 명확한 근무 지시가 있어야 수당 지급 대상이 됩니다.
교원의 초과근무수당은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추가 업무에 대한 보상으로, 호봉과 직급에 따라 정해진 단가로 지급됩니다. 수당 지급을 위해서는 사전 승인과 실제 근무가 반드시 필요하며, 월별 상한 시간도 존재합니다. 교사, 교감, 교장 등 직급별로 수당 단가가 다르므로, 본인의 호봉과 직급을 기준으로 정확한 수당 계산이 필요합니다.